건강체력에는
심폐지구력, 근지구력, 근력, 유연성 등이
있다. 이 중 심폐지구력은 신체활동에 필요한
영양분과 산소를 활동근육에 공급하고 대사작용에
의해 생긴 부산물의 처리하는 능력을 뜻한다.
많은 연구에 의하면 심폐지구력이 발달된 사람은
심장질환을 비롯한 생활습관병의 발병률과
사망율이 운동을 하지 않는 사람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근력은
일상생활에서 힘이 요구되는 동작을 수행할
때 필요한 체력으로 골밀도와 관련이 있으며
노인에서의 하체근력은 낙상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근지구력은 근육운동의 지속능력을 의미하며
이는 신체의 지지능력을 좌우하며 복부나 허리의
근육은 요통과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 유연성은
관절의 운동범위를 말하며 스트레칭과 같은
유연성을 늘리는 운동은 부상을 방지할 수
있고 활동을 원활하게 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러한
건강체력을 시설이 잘 갖추어진 곳에서 받으면
더 좋겠지만 특별한 장비나 비용이 없이도
간편하게 자신의 상태를 가늠할 수 있다. 날씨가
좋은 날 집과 운동장에서 한번 건강체력을
검사해보면 어떨까? 검사한 후 제시되어 있는
표와 비교하여 자신의 상태를 점검해보자.
기준표에 있는 1등급은 가장 좋은 상태이고
5등급으로 갈수록 안좋은 상태를 의미하며
3등급은 보통정도에 해당된다.
Ⅰ.
심폐지구력 알아보기(1200m 달리기)
집에서
가까운 학교 내 400m운동장을 이용하여 3바퀴를
자신의 능력에 맞는 페이스에 맞춰 1,200m를
완주하는 방법으로, 측정 중 전체거리를 완주할
수 없다면 걸어도 괜찮다.
(단위: 초)
1등급
2등급
3등급
4등급
5등급
남
여
남
여
남
여
남
여
남
여
20대 전반
286이하
383이하
286~316
383~450
316~362
450~524
362~410
524~594
410이상
594이상
20대 후반
295이하
398이하
295~326
398~440
326~360
440~488
360~400
488~550
400이상
550이상
30대 전반
300이하
400이하
300~333
400~436
333~362
436~493
362~438
493~563
438이상
563이상
30대 후반
311이하
410이하
311~344
410~444
344~380
444~495
380~474
495~576
474이상
576이상
40대 전반
308이하
407이하
308~343
407~450
343~381
450~508
381~431
508~570
431이상
570이상
40대 후반
325이하
424이하
325~358
424~478
358~410
478~570
410~471
570~702
471이상
702이상
50대 이상
343이하
441이하
343~374
441~500
374~440
500~577
440~541
577~717
541이상
717이상
Ⅱ.
근지구력 알아보기 (윗몸 일으키기)
무릎을
직각으로 굽히고 양손은 머리 뒤에서 깍지를
끼고 등을 바닥에 대고 눕는다. 보조자가 발목을
누른 준비 상태에서 시작과 동시에 상체를
일으켜 양쪽 팔꿈치가 양 무릎에 완전히 닿은
다음 다시 누운 자세로 돌아가게 하여 횟수를
측정한다.
(단위: 회)
1등급
2등급
3등급
4등급
5등급
남
여
남
여
남
여
남
여
남
여
19~24
26이하
16이하
26~36
16~25
36~50
25~40
50~59
40~48
59이상
48이상
25~29
26이하
12이하
26~33
12~21
33~44
21~34
44~53
34~41
53이상
41이상
30~34
22이하
5이하
22~30
5~18
30~40
18~27
40~50
27~38
50이상
38이상
35~39
22이하
5이하
22~29
5~14
29~37
14~26
37~45
26~37
45이상
37이상
40~44
20이하
1이하
20~24
1~7
24~32
7~20
32~43
20~30
43이상
30이상
45~49
15이하
0이하
15~22
0~5
22~30
5~15
30~40
15~25
40이상
25이상
50이상
9이하
0이하
9~17
0~1
17~28
1~12
28~35
12~24
35이상
24이상
Ⅲ.
유연성 알아보기(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
무릎을
펴고 바르게 앉은 상태에서 숨을 내쉬면서
윗몸을 앞으로 굽혀 양손을 쭉 핀다. 이때
발끝이 앞쪽이나 옆으로 가지 않도록 수직으로
세워야 하며 몸에 반동을 주지 않는다. 발끝을
기준으로 손이 얼마나 나아갔는지를 측정한다.
(단위: cm)
1등급
2등급
3등급
4등급
5등급
남
여
남
여
남
여
남
여
남
여
19~24
6.1이하
9.2이하
6.2~13.7
9.3~16.1
13.8~19.5
16.2~23.5
19.6~23.9
23.6~27.9
24.0이상
28.0이상
25~29
6.2이하
10.0이하
6.3~13.2
10.1~15.7
13.8~19.1
15.8~22.9
19.2~25.0
23.0~27.0
25.1이상
27.1이상
30~34
5.1이하
11.0이하
5.2~12.2
11.1~17.2
12.3~18.0
17.3~21.5
18.1~22.1
21.6~26.0
22.2이상
26.1이상
35~39
5.0이하
10.8이하
5.1~10.7
10.9~14.9
10.8~17.1
15.0~20.0
17.2~22.0
20.1~24.9
22.1이상
25.0이상
40~44
1.6이하
10.1이하
1.7~8.9
10.2~14.9
9.0~16.5
15.0~19.4
16.6~21.3
19.5~26.2
21.4이상
26.3이상
45~49
3.7이하
8.5이하
3.8~10.7
8.6~12.0
10.8~16.4
12.1~18.5
16.5~20.0
18.6~22.6
20.1이상
22.7이상
50이상
-0.2이하
8.1이하
-0.1~6.7
8.2~13.8
6.8~13.8
13.9~19.2
13.9~19.9
19.3~22.9
20.0이상
23.0이상
이러한
건강체력은 평소에 꾸준히 운동하고 신체활동을
많이 하는 사람이 좋다. 혹시 자신의 수준이
낮게 나왔다면 신체활동을 게을리 했을 가능성이
높다. 자신의 상태를 안다면 아마도 운동하거나
신체활동을 늘려야겠다는 자극이 되지 않을까?
한번 평소에 하고 싶었던 운동을 이참에 시작해보자.